교쿠에이 라이트 넙치KYOKUEI LIGHT HIRAME

슬라이더로 보기
목록으로 보기
  • M-220

닫기

신균형 이론을 구사하여 유연성과 조작성이 절묘한 균형을 이룬다!

새로운 밸런스 이론을 구사하여 유연성과 조작성이 절묘한 균형을 이룬다! 감성 영역 설계 시스템 ESS, 'V-조인트 α' 채용. 휴대성이 뛰어난 센터 컷 2피스이면서도 강하고 아름다운 휨을 실현.
또한, 경량 고감도를 실현하는 'AGS', 'SMT' 탑재. 존재감이 느껴지지 않는 이상적인 시트 'ZERO_SEAT'와 타이트한 컨트롤을 실현하는 X45를 장착한다.

다이와 테크놀로지

감성영역 설계 시스템 [ESS] (엑스퍼트 센스 시뮬레이션)
로드는 휘어지면 그 반대 방향으로 다시 일어나려는 에너지(복원력)가 발생합니다. 이는 변형된 블랭크가 원래 상태로 돌아가려는 ‘변형 에너지’로, 낚싯대의 성능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DAIWA는 이 ‘변형 에너지’를 분석하고 설계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독자적으로 개발하여, ‘어디가 우수한지’와 ‘어디가 부족한지’를 수치로 명확하게 파악할 뿐만 아니라, 낚시인이 느끼는 감성적 요소도 설계에 반영할 수 있어, 낚시인이 원하는 로드에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게 되었습니다.
AGS
경량과 고감도를 실현하는 AGS(에어 가이드 시스템)는 카본 프레임을 채택하여, 티타늄 대비 약 3배의 강성을 지닌 카본의 특성으로 라인을 통해 전달되는 미세한 신호를 흡수하지 않고 블랭크에 직접 전달하는 높은 감도를 제공합니다. 또한, 카본의 경량성은 로드 전체의 경량화에 기여하며, 특히 초릿대 부분의 경량화로 이어져 감도 향상에 추가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SMT(SuperMetalTop)
SMT(슈퍼 메탈 톱)는 초탄성 티타늄 합금 소재를 낚싯대의 초릿대에 사용한 DAIWA의 독자적인 기술입니다. 금속 특유의 진동 증폭 능력을 통해 카본 소재로는 구현할 수 없는 감도를 낚시인에게 제공합니다. 높은 탄성을 가진 금속 소재의 강도와 외부 충격에 대한 강함에 더해, 미세한 움직임에도 유연하게 휘어지는 섬세한 초릿대를 구현하여, 금속만이 줄 수 있는 손 감도와 시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시감도가 뛰어나 입질을 손끝까지 확실하게 전달합니다.
V-JOINTα
조인트 부위에 고강도 소재인 나노 합금을 채택하고, DAIWA의 정밀 가공 기술을 활용하여 V-조인트 α가 탄생했습니다. 이를 통해 V-조인트는 더욱 강하고 가벼우며 아름답게 휘어지는 형태로 진화했습니다. 연결 부위가 많은 낚싯대에서는 조인트 부위를 짧게 만들어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경량화를 실현하는 데 기여합니다.
X45
캐스팅, 액션, 훅킹, 파이팅 등의 동작에서 발생하는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오랜 연구 끝에, 기존 구조(낚싯대 끝에 대해 0°, 90°)에 더해 '45°' 바이어스 크로스(±45°로 대각선으로 배치된 카본 섬유)를 감는 것이 최적이라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X45를 탑재하여 비틀림을 방지하고, 파워, 조작성, 감도가 비약적으로 향상되었습니다.
AIR SENSOR SEAT
카본 파이버가 포함된 에어 센서 시트를 통해 경량화, 고강도, 고감도를 실현합니다. 로드의 용도에 맞게 전용 설계가 적용되어 있으며, 범용 릴 시트로는 경험할 수 없는 조작성을 제공합니다.

제품 상세 정보

이상적인 시트는 그 존재를 느끼지 못하게 하는 ZERO_SEAT
릴 시트의 존재 자체를 잊을 수 있는 수준까지 STRESS "0"을 목표로 한 착용감, 가벼움, 조작성. 그리고 다양한 요소의 최적 밸런스를 실제 낚시에서 철저한 검증을 통해 추구했다. 릴에 맞춘 파밍 성능을 추구한 캐비티 트리거 채용(탄소섬유가 들어간 에어 센서 수지제).
SMT 탑재
배낚시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SMT'를 탑재. 감도와 강도가 뛰어나 섬세한 입질도 표현해 준다.
V-조인트α」채용
'V-조인트 α'를 채용하여 휴대성이 뛰어난 센터컷 2피스이면서 강하고 아름다운 굽힘을 실현했다.
이름부
감도와 경량화를 실현하는 AGS
옆으로 쉽게 잡을 수 있는 리어 그립

아이템 소개

"AGS』와 『SMT』의 조합은 바다 속 상황을 더욱 선명하게 낚시꾼에게 전달하여 낚시는 물론 광어 낚시의 즐거움을 더욱 돋보이게 해준다. ESS, 새로운 밸런스 이론을 구사하여 유연성과 조작성이 절묘하게 균형을 이루는 조율을 추구한다. 'V-조인트 α'를 채용하여 휴대성이 뛰어난 센터컷 2피스이면서도 강하고 아름다운 휨새를 실현했다.
아이템 설명
M-220 세로로 흘릴 때나 잔잔한 날, 여름 광어에 효과적인 유연한 경량 타입
MH-235 횡류 시나 파도가 높은 날에 효과적인 만능 타입.
왼쪽으로 스크롤
오른쪽으로 스크롤

액세서리

벡터 다이와 지퍼가 달린 낚싯대 가방
클로로프렌 로드 벨트

테스터 임프레션

후쿠다 토모키
라이트 태클의 광어 낚시는 나에게 매우 애착이 가는 낚시다. 나의 다이와 배 테스터의 발자취는 이 낚시와 항상 함께 해온 것 같다. 다이와 라이트 넙치낚시의 플래그십인 교쿠에이 라이트 넙치낚시의 원조인 교쿠에이 라이트 넙치낚시도 초창기 원안부터 함께 했다. 그 교쿠에이 라이트 넙치가 3세대로 거듭난다고 하니 기대에 가슴이 두근거린다.
또 하나 더 큰 기대를 갖게 하는 요소가 하나 더 있는데, 다이와 낚싯대 로드에 새롭게 추가된 기술의 탄생이다. 그 이름도 '신 밸런스 이론'이다. 언뜻 보면 이해하기 어려운 신기축이지만, 이 '신 밸런스 이론'에 따라 설계된 로드는 초릿대부터穂先(초릿대)까지 보다 유연하면서도 감도, 조작성이 뛰어나 낚싯대를 조작하는 감각이 예리하게 느껴진다. 쉽게 유연함을 추구하면 자칫 둔탁한 느낌의 로드가 되기 쉬운데, 다이와 테크놀로지의 기술력이 만들어낸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야리토리 시 손에 전달되는 정보도 많아 입력한 대로 원하는 대로 반응해준다. 이 '신 밸런스 이론'의 장점이야말로 라이트히라메로드의 이상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다. "다음 라이트 히라메로드는 분명 재미있는 낚싯대가 될 거야!" '신 밸런스 이론'을 처음 체험했을 때부터 가슴이 두근거렸다. 그리고 교쿠에이 라이트히라메의 필드 테스트 당일, 그 예감은 현실이 되어 큰 기쁨과 흥분으로 바뀌었다. 이상적인 낚싯대의 탄생에 관여하는 것이야말로 다이와 배 테스터의 보람이자 기쁨이다.

동영상 등을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내가 최근 라이트 히라메로드로 특히 주목하고 있는 로드의 성능으로 모타레의 입질 표현력을 꼽을 수 있다. 쿵쿵, 쿵쾅쿵쾅이라는 진동의 입질은 물론 중요한 요소다. 여기에 더해 넙치 낚시에서 이 모타레 입질이 주는 정보의 가치는 매우 높다. 넙치 낚시의 첫 입질이 모타레에서 시작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또한, 추가 바닥을 두드리는 소음과 넙치의 입질을 파악하거나 입질을 포착한 후 입질 타이밍을 잡는 장면에서도 이 모타레가 큰 단서를 제공해 준다. 눈의 감도로서의 모타레의 표현은 기존 슈퍼메탈탑의 강점이다. 유연성과 감도를 고차원적으로 양립시키는 SMT는 넙치 낚시에 안성맞춤인 톱이다. 전작인 교쿠에이 라이트 넙치에서도 모타레의 입질 표현력은 궁극에 가까웠다고 느꼈다. 여기서 한 단계 더 높은 곳을 향해 나아가기 위해 '신 밸런스 이론'의 채용은 필수 요소였다.

또한, 다이와 배 로드는 '가벼움은 감도'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이번 교쿠에이 라이트 넙치도 가벼움에서 오는 감도를 구현한 로드임에는 이견의 여지가 없다. 그 가벼움은 눈의 감도로 잡던 모타레의 입질을 손의 감도 영역까지 끌어올리는 데 성공하고 있다. 놀랍게도 Ⅿ-220은 모타레의 표현력과 범용성을 높이기 위해 길이를 늘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전 모델보다 가벼워졌다는 점에서 다이와 배로드 설계진의 열정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이 가벼움이 지금까지의 손 감도의 한계를 뛰어넘어 새로운 라이트 넙치 낚시의 즐거움을 알려줄 것이다.

이 경량화와 감도에는 카본 수지로 강화된 제로시트(ZERO-SEAT)의 효과도 빼놓을 수 없다. 또한, 이 ZERO-SEAT는 가볍고 감도가 좋을 뿐만 아니라, 낚시를 하는 동안 낚싯대의 존재감을 잊어버릴 정도로 그립감이 뛰어나며, 그립감이 자유롭다. 릴 시트 부분은 낚시꾼과 낚싯대의 접점이 되는 부분인 만큼 타협하고 싶지 않은 부분이다.

이번에도 교쿠에이 라이트 넙치 낚싯대는 2가지 타입이 있다. 220과 ⅯH-235다. 220은 길줄이 서는 엔진 수채나 감성돔 날에 라이트한 느낌을 마음껏 즐기기 위한 한 마리다. H-235는 바람이 많이 부는 날의 횡류나 파도가 있는 날, 경우에 따라서는 거치대 사용 등 다양한 조건에 대응하는 올라운더다. 기본적인 유형 구분은 이전 모델과 동일하다.

교쿠에이 라이트 넙치 2가지 타입 중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하느냐는 질문을 받는 경우가 종종 있다. 질문하는 사람의 취향이나 기술, 낚시하는 계절이나 필드, 그날의 바다 상황 등을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대개는 올라운더인 ⅯH를 추천하게 된다. 하지만 대화를 마치고 나면 내 마음 한구석에는 Ⅿ를 한 번쯤 써보고 싶다는 마음이 항상 걸림돌처럼 남는다. "어느 쪽을 추천하는 거야!" 라고 꾸지람을 들을 것 같지만, 그것이 나의 솔직한 마음이다. 그만큼 조건이 맞을 때 Ⅿ로 광어를 낚았을 때의 즐거움은 남다르다. 노멀과 라이트 스타일이 혼재하는 현재의 배낚시 광어낚시. 그 속에서 라이트 태클 스타일의 존재 의의를 다시 한 번 일깨워줄 이번 교쿠에이 라이트 넙치. 라이트 넙치 낚시의 진화의 방향은 언제나 낚시의 즐거움이 가리키고 있다. 그 최첨단을 한 분이라도 더 많은 분들이 직접 체험해 보셨으면 한다.

동영상

제품 사양

품명 전장(m) 마디수 접은 길이(cm) 표준무게(g) 선경/원경(mm) 추 부하(호) 카본 함유량(%) 적합한 클램프 크기 권장 소비자가(엔) JAN코드
교쿠에이 라이트 히라메 MH-235・Q 2.35 2 122 96 0.8/9.8 20~80 99 SSS 63,000 4550133253171
교쿠에이 라이트 히라메 M-220・Q 2.2 2 115 84 0.7/9.8 15~60 96 SSS 62,500 4550133253164
왼쪽으로 스크롤
오른쪽으로 스크롤
※금속 상판 사용 시 주의사항
■메탈 탑의 온도 변화에 대하여
초탄성 티타늄 합금은 소재 특성상 5℃ 이하의 저온 환경에서는 탄성이 저하되어 초릿대의 복귀가 느려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른 아침・밤의 극심한 추위나 바람의 영향으로 눈에 띄는 정도의 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0℃ 이하의 환경에서는 탄성저하가 더욱 진행되어 초릿대가 구부러진 채로 돌아오지 않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어느 경우든 기온이 상승하면 원래의 초탄성으로 돌아와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과도한 굴곡을 유발하는 사용은 피하십시오.
메탈 탑은 정상적인 사용 시에는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초릿대 감김, 초릿대 실 꼬임 등 외부 요인에 의한 과도한 굴곡은 변형이 남거나 금속 피로로 인해 파손될 수 있습니다.
■만일의 변형은 손으로 수정할 수 있습니다.
변형이 남아있는 경우, 구부러진 쪽과 반대 방향으로 천천히 구부려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단, 반복적으로 변형 수정을 하면 금속 피로의 원인이 되므로, 감김 등 변형이 남는 조작은 피하시기 바랍니다.

편안한 사용을 위해 사용설명서를 반드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